성북의 공연예술 살펴보기

본문 바로가기

성북의 공연예술 살펴보기

성북의 공연예술 살펴보기

  

성북의 경우, 아직까지는 공연예술과  관련한 기록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발간물이나 기록물도 홍보 포스터나 약간의 연계 영상 외에 특별히 없어서, 이글에서는 공연예술 기록물에 대한 얘기보다 지난 10년 동안의 성북의 전반적인 공연예술 동향에 대해서 언급하여, 향후 공연예술 장르 기록물 정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필자는 공연예술창작자(연극연출가)로, 극장에서뿐만 아니라 거리, 광장, 특정장소 등 대안공간에서의 공연예술창작 및 공연을 하는 연출가의 한 명으로서 특정한 시각으로 공연예술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을 썼음을 밝힌다.

 

성북 공연예술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지도가 필요하다. 지도를 펼쳐놓고 그 위에 공연이 펼쳐진 장소에 점을 찍어보면 주제나 연대기적 배치보다 더 선명하게 그 특징이 드러난다. 거리, 광장, 골목, 특정 장소, 역사 문화 공간, 도서관, 학교, 문인들의 옛집 등 극장 외에도 다양한 공공공간과 장소에서 공연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연이 일어나는 곳은 극장이지만 성북의 경우, 극장을 넘어 일상적인 공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관객과의 만남이 이루어졌다. 그만큼 성북의 공연예술 신scene은 지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지도를 조금 넓게 펼쳐서 성북과 이웃한 종로구의 공연상황을 보면 대학로의 극장들에 집중적으로 점이 찍힌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북은 한국 공연예술의 중심지인 대학로에 인접해 있는 지역이다. 그래서 수많은 극단들과 연습실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연극 신scene에서 탈 대학로 논의는 1970년대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급격한 임대료 인상을 감당하지 못하는 대학로의 소극장들이 거처를 옮기거나 문을 닫고 있는 추세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렇듯 대학로의 생태계 변화는 성북의 공연예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반대로 성북의 공연예술생태계 또한 대학로 뿐 아니라 서울의 공연예술에 영향력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성북에는 많은 극단과 연극인들이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예술가들의 일상이 지역성과 만나기 적합한 곳이다. 연극이라는 공동체 예술이 자기가 사는 지역과 공동체를 만나 일상화되는 흐름을 낳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대학로 소극장에서 출발한 창작극과 실험극이 더 이상 대학로라는 상징적이고 경직된 장소에서는 담기지 못하고, 마치 뉴욕의 '브로드웨이'와 '오프 브로드웨이'의 관계처럼 대학로의 주류에 대항하는 동시대 연극의 새로운 기류들이 성북에서 목격된다. 예를 들면, 오랫동안 이어져온 성북의 재개발 이슈와 관련되어 성북동에서는 한 극단이 마을공동체에 스며들면서 <기이한 마을(버스)여행>, <북정>블루스 등 옴니버스형태의 장소특정공연이 이루어졌고, 만해 한용운이 만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난 심우장에서는 <뮤지컬 심우>가 상연되었다. 또한 신동엽 시인의 전시와 더불어 <신동엽 산책극: 때는 와요>가 마을의 골목 등에서 공연되었다. 이렇듯 지도 위 특정 장소에서 점을 찍거나 선을 그어 표시해야하는 공연이 다수 나타났다.


‘미아리고개예술극장’과 ‘천장산우화극장’과 같은 성북의 공공극장에서 일어나는 특징들도 주목할 만하다. 두 극장 모두 민관거버넌스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지역의 공공극장으로서의 또렷한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화학작용>, <15분연극제>, <페미니즘연극제> 등의 주목할 만한 동시대 예술축제가 미아리고개예술극장에서 행해졌고 <구석구섞축제>, <성북연극제>, <천장산우화예술제>, <월장석 방방방> 등 커뮤니티 기반의 자발적인 민간예술축제가 만들어졌다. 또한 공연예술가들이 시민들과 만나면서 <시민연극교실>, <성북올스타즈>, <돌곶이청소년연극부> 등 시민연극이 활성화되었다. 한편, 광장에서는 시민축제를 통한 다양한 창작과 공연이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축제로는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 <성북야행>, <정릉더하기축제>, <성북책모꼬지> 등이 있다. 


'관객'이라는 요소에 대한 고찰이 재점화되고 있다. 예술향유에 있어서 수동적인 대상으로 여겨졌던 기존의 공연예술형식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다양한 관객의 위치와 역할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성북에서도 그 특성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유영봉(서울괴담 대표)